Korean for Education

묻고 답하기 => 국어 교육 관련 => Topic started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Titl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븟흐며 (출처: 동명일기)의 원래 용언 원형이 븥다. 븣다 중 무엇인가요?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븥으며-븟(7종성)+흐(재음소화)+며로 가르치는 것이 맞을까요? 그리고 '믈+밋ᄎᆞᆯ , 것ᄎᆞᆯ'은 각각 '및을'을 거듭적기 하고 7종성을 한 것이라면 밑의 옛말은 '및'일까요? '것'도 '겇'을 7종성으로 표현한 걸까요?  찾아보고 공부하고 싶은데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고견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꼭 찾아보지 않아도 두 가지 정보를 통해 추론할 수 있습니다.

1.근대국어는 재음소화한다.
2.근대국어는 ㄷ 대신 ㅅ으로 7종성화한다.

븟흐며 는 븥다-으며 일 가능성이 높지요.(븥다 는 원순모음화해서 붙다 가 되고요)
븥으며 는 연철해서 브트며 가 되고 'ㅌ'는 재음소화해서 'ㄷ+ㅎ'가 됩니다. 그러면
브트며 가 븓흐며 가 되고 마지막으로 ㅅ7종성법 때문에 븟흐며 가 된 것이므로
기본형 '븣다'보다는 '븥다'가 합리적인 추론이 됩니다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꼭 찾아보지 않아도 두 가지 정보를 통해 추론할 수 있습니다.

1.근대국어는 재음소화한다.
2.근대국어는 ㄷ 대신 ㅅ으로 7종성화한다.

븟흐며 는 븥다-으며 일 가능성이 높지요.(븥다 는 원순모음화해서 붙다 가 되고요)
븥으며 는 연철해서 브트며 가 되고 'ㅌ'는 재음소화해서 'ㄷ+ㅎ'가 됩니다. 그러면
브트며 가 븓흐며 가 되고 마지막으로 ㅅ7종성법 때문에 븟흐며 가 된 것이므로
기본형 '븣다'보다는 '븥다'가 합리적인 추론이 됩니다
그럼 것.밑은 각각 겇.및이 맞을까요?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그리고
재음소화를 가르쳐야하나 고민될 때가 있습니다
교과서에선 빠져 있어서요.
그런데 문제집이나 학생들 질문은 들어와서 고민입니다.
근대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라면
가르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꼭 찾아보지 않아도 두 가지 정보를 통해 추론할 수 있습니다.

1.근대국어는 재음소화한다.
2.근대국어는 ㄷ 대신 ㅅ으로 7종성화한다.

븟흐며 는 븥다-으며 일 가능성이 높지요.(븥다 는 원순모음화해서 붙다 가 되고요)
븥으며 는 연철해서 브트며 가 되고 'ㅌ'는 재음소화해서 'ㄷ+ㅎ'가 됩니다. 그러면
브트며 가 븓흐며 가 되고 마지막으로 ㅅ7종성법 때문에 븟흐며 가 된 것이므로
기본형 '븣다'보다는 '븥다'가 합리적인 추론이 됩니다
그럼 것.밑은 각각 겇.및이 맞을까요?
그건 좀 애매한데, 추측해 보자면,
우리가 현대국어에서
 밑을 이렇게 적고 읽을 때 미츨 하잖아요? 그리고 그걸 좀 세게 발음하면 믿츨 하겠지요?
그러한 현실발음이 근대국어표기에 반영되었고, 역시 'ㅅ7종성법' 때문에 밋츨 로 중철표기한 것 같습니다.

왜 애매하다고 말하냐면,
만약 밑에 밑을 밑이 밑은 ... 을 모두 미체 미츨 미치 미츤.. 으로 읽고 썼다면 근대국어 시기에 잠시 밑의 기저형이 및 이었다. 즉 밑(중세) > 및(근대) > 밑(현대) 이런 과정을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근대시기에도 미테 미틀 미테 등등이 문헌으로 남아있으니 굳이 복잡하게 밑 > 및 > 밑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것츨'은 좀 다른데, '겇'은 원래부터 '겇'이었습니다. 아마 살갗, 엿의갗 할 때 '갗'이 가죽이나 껍데기라는 뜻이니 '겇'도 가죽이나 껍데기의 큰말 정도였겠죠.(깜깜 껌껌)
그게 8종성가족용이니 종성단독일 때에 '것'으로 쓰이다가 근대국어에서 중철을 하게 되니
거츨 에서 2음절 '츨'은 소리대로 쓰고 1음절은 형태를 밝혀서 '것'으로 쓴 겁니다.
미츨 거츨은 형성과정이 다릅니다.

재미있는 것은.. 그럭저럭 지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를 통일해야겠다고 느낄 때

1) 븟흐면 - 브트면
ㅅ는 ㄷ소리이고 ㅎ를 재음소화한 건 잘못이니 둘을 분리하면 안 돼. - 브트면
2) 밋츨 - 미틀
ㅅ는 ㄷ소리이고 ㅊ는 구개음화됐으니 이를 ㅌ로 되돌려야 해. - 미틀
3) 것츨 - 거틀
어, 이건 '미츨'하고 똑같네. 그럼 당연히 - 겉을 이지?!?!

이렇게 된 과정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4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꼭 찾아보지 않아도 두 가지 정보를 통해 추론할 수 있습니다.

1.근대국어는 재음소화한다.
2.근대국어는 ㄷ 대신 ㅅ으로 7종성화한다.

븟흐며 는 븥다-으며 일 가능성이 높지요.(븥다 는 원순모음화해서 붙다 가 되고요)
븥으며 는 연철해서 브트며 가 되고 'ㅌ'는 재음소화해서 'ㄷ+ㅎ'가 됩니다. 그러면
브트며 가 븓흐며 가 되고 마지막으로 ㅅ7종성법 때문에 븟흐며 가 된 것이므로
기본형 '븣다'보다는 '븥다'가 합리적인 추론이 됩니다
그럼 것.밑은 각각 겇.및이 맞을까요?
그건 좀 애매한데, 추측해 보자면,
우리가 현대국어에서
 밑을 이렇게 적고 읽을 때 미츨 하잖아요? 그리고 그걸 좀 세게 발음하면 믿츨 하겠지요?
그러한 현실발음이 근대국어표기에 반영되었고, 역시 'ㅅ7종성법' 때문에 밋츨 로 중철표기한 것 같습니다.

왜 애매하다고 말하냐면,
만약 밑에 밑을 밑이 밑은 ... 을 모두 미체 미츨 미치 미츤.. 으로 읽고 썼다면 근대국어 시기에 잠시 밑의 기저형이 및 이었다. 즉 밑(중세) > 및(근대) > 밑(현대) 이런 과정을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근대시기에도 미테 미틀 미테 등등이 문헌으로 남아있으니 굳이 복잡하게 밑 > 및 > 밑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것츨'은 좀 다른데, '겇'은 원래부터 '겇'이었습니다. 아마 살갗, 엿의갗 할 때 '갗'이 가죽이나 껍데기라는 뜻이니 '겇'도 가죽이나 껍데기의 큰말 정도였겠죠.(깜깜 껌껌)
그게 8종성가족용이니 종성단독일 때에 '것'으로 쓰이다가 근대국어에서 중철을 하게 되니
거츨 에서 2음절 '츨'은 소리대로 쓰고 1음절은 형태를 밝혀서 '것'으로 쓴 겁니다.
미츨 거츨은 형성과정이 다릅니다.

재미있는 것은.. 그럭저럭 지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를 통일해야겠다고 느낄 때

1) 븟흐면 - 브트면
ㅅ는 ㄷ소리이고 ㅎ를 재음소화한 건 잘못이니 둘을 분리하면 안 돼. - 브트면
2) 밋츨 - 미틀
ㅅ는 ㄷ소리이고 ㅊ는 구개음화됐으니 이를 ㅌ로 되돌려야 해. - 미틀
3) 것츨 - 거틀
어, 이건 '미츨'하고 똑같네. 그럼 당연히 - 겉을 이지?!?!

이렇게 된 과정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때 3)은 잘못된 교정이지요. 근대에서 현대로 오면서 오교정 과도교정이 광범위하게 일어났는데 그 중의 한 사례로 볼 수 있겠네요
Title: Re: 근대국어 재음소화
Post by: 익명 on Dec 13, 2022, 05:04 AM
Quote from: 익명 on Dec 13, 2022, 05:03 AM그리고
재음소화를 가르쳐야하나 고민될 때가 있습니다
교과서에선 빠져 있어서요.
그런데 문제집이나 학생들 질문은 들어와서 고민입니다.
근대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라면
가르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가르치냐마냐보다는 그걸 알면 아이들의 인생에 도움이 되냐 안 되냐가 중요하겠죠. 제가 볼 땐 도움이 됩니다. ^^
근데 혹시 고2 언매이실까요? 고1의 국어사 단원에는 근대국어가 빠져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