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for Education

묻고 답하기 => 국어 교육 관련 => Topic started by: 익명 on Apr 19, 2023, 05:51 PM

Titl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1 PM
선생님들 질문이 있습니다. 여기서 ㄴ의 넋두리를 평파열음화(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순서로 하면 5번도 답이 되지 않나요?
넋두리1.jpg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1 PM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넋'의 어말자음군 'ㄱㅅ'은 하나의 음소가 아니라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하나의 음소가 다른 음소로 대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규칙인 듯 합니다:) 아울러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난 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따라서 넋두리 -> [넉뚜리] 는 탈락이 일어난 후 대치(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1 PM
자음군단순화와 음절의 끝소리 규칙 순서가 <국어음운론> 책에 나오던 것 같은데... 넉ㄷ두리, 넉ㄷ뚜리, 넉뚜리처럼 보는 견해를 대학 때 교수님께 들은 듯싶기도 하네요. 나찬연 교수님 국어문법방에 질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또 궁금한 점이 있어요. 저도 4번과 5번이 대치되어서 문법 개론서에는 평파열음화부터 적용하라고 되어있지만 문제에 따라 선생님 답변부터 적용을 했었거든요. 근데 그렇게 되면 이 문제랑 충돌하는 것 같아서요. 같은 환경에서 음운변동 적용 순서가 다를 수가 있나요? 아님 제 풀이 어디에서 오류가 났는지 모르겠어요ㅜㅜ

국음강에도 이렇게 쓰여있긴 한데...ㅜㅜ 둘 다 고3 문제라 어떻게 적용을 해야될지 모르겠네요넋두리2.png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
규칙순 적용하면 겹받침에서 먼저 평파열음화가 일어나고 그후 평파열음 뒤의 된소리되기, 그후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납니다!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또 궁금한 점이 있어요. 저도 4번과 5번이 대치되어서 문법 개론서에는 평파열음화부터 적용하라고 되어있지만 문제에 따라 선생님 답변부터 적용을 했었거든요. 근데 그렇게 되면 이 문제랑 충돌하는 것 같아서요. 같은 환경에서 음운변동 적용 순서가 다를 수가 있나요? 아님 제 풀이 어디에서 오류가 났는지 모르겠어요ㅜㅜ

국음강에도 이렇게 쓰여있긴 한데...ㅜㅜ 둘 다 고3 문제라 어떻게 적용을 해야될지 모르겠네요
평파열음화부터 적용하는 게 맞고
읊고에서 가를 적용해서 읇고 읇꼬 한 후
나를 적용해서 자단 하는 것 같아요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
무조건 평파열음화가 먼저다 하기 어려울 듯하고, 결과만 봤을 때 겹자음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1. 넋두리, 없고
자음군 단순화 - 된소리되기
2. 핥다
평파열음화 - 된소리되기 - 자음군단순화
3. 않고, 잃다
음운축약

1번 계열은, 자음군단순화가 일어나도 [넉], [업]의 [ㄱ,ㅂ]에 의해 뒤의 [ㄷ], [ㄱ]이 [ㄸ, ㄲ]로 바뀌는 걸 잘 설명할 수 있으므로 [ㅅ > ㄷ]과 같은 [평파열음화] 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2번 계열은, 자음군단순화가 일어나면 [할다]가 되고, [ㄹ]이 [다]을 경음화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 [된소리되기]-[자음군단순화]로 순서를 잡는 것이 합리적인데, '된소리되기에서 영향을 주는 자음은 [ㄱ,ㄷ,ㅂ] 등으로 제한되므로 [된소리되기]앞에 [ㅌ]이 [ㄷ]되는 [평파열음화] 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3번 계열은, [ㅎ]의 특성상 [ㄷ]으로 바뀌지 않고 바로 축약되는 걸로 설명 가능합니다.

4. 읽고, 넓지
된소리되기 - 자음군단순화
5. 읊고
(1)평파열음화 - 된소리되기 - 자음군단순화
(2)자음군단순화 - 평파열음화 - 된소리되기

4번 계열은 자음군단순화가 먼저 일어나면 [고], [지]가 [꼬, 찌]로 바뀔 수 없다는 점에서 2번 '핥다' 계열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5번 계열은 (1), (2) 중 뭘로 설명해도 상관 없지만, 겹자음 받침의 발음 패턴이 3가지라도 복잡한데 굳이 5-(2)를 택해서 패턴을 하나 더 만들기보다는 그냥 5-(1)로 설명하면 위의 2번 '핥다' 계열과 같아지니 설명이 경제적이죠.

이런 설명을 도입한다면, ㄴ의 ㄳ이 ㄱ으로 될 때는 1번(자음군단순화), ㄷ의 ㅅ이 ㅆ으로 될 때도 1번(경음화)이니 변동의 횟수는 같겠네요.
Title: Re: 음운 변동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5:5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9, 2023, 05:52 PM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또 궁금한 점이 있어요. 저도 4번과 5번이 대치되어서 문법 개론서에는 평파열음화부터 적용하라고 되어있지만 문제에 따라 선생님 답변부터 적용을 했었거든요. 근데 그렇게 되면 이 문제랑 충돌하는 것 같아서요. 같은 환경에서 음운변동 적용 순서가 다를 수가 있나요? 아님 제 풀이 어디에서 오류가 났는지 모르겠어요ㅜㅜ

국음강에도 이렇게 쓰여있긴 한데...ㅜㅜ 둘 다 고3 문제라 어떻게 적용을 해야될지 모르겠네요
평파열음화부터 적용하는 게 맞고
읊고에서 가를 적용해서 읇고 읇꼬 한 후
나를 적용해서 자단 하는 것 같아요
선지4는 [않고] - [안ㄷ고] - [안ㄷ꼬] - [안꼬] 이렇게 평파열음화-경음화-자음군단순화 로 적용하면 표면형이 [안코]와 달라집니다. 따라서 곧바로 축약을 하니, (가)도 아니고 (나)도 아니죠. (위 설명의 패턴3번입니다.)
선지5는 [읊고] -(가)- [을ㅂ고] - [을ㅂ꼬] -(나)- [읍꼬] 이렇게 위의 패턴2번으로 설명이 됩니다. <보기>의 (가), (나)가 모두 포함되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