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for Education

묻고 답하기 => 국어 교육 관련 => Topic started by: 익명 on Apr 09, 2023, 06:46 PM

Titl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6 PM
안녕하세요. 비유와 상징에 대해 가르치려고 가요를 자료 찾다보니 점점 비유와 상징이 헷갈리기 시작해서 질문드립니다.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은 이별 상황을 사건의 지평선에 비유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사건의 지평선이라는 용어가 이별 상황을 상징하는 걸까요?

사건의 지평선 - 윤하
생각이 많은 건 말이야
당연히 해야 할 일이야
나에겐 우리가 지금 1순위야
안전한 유리병을 핑계로
바람을 가둬 둔 것 같지만
기억나? 그날의 우리가
잡았던 그 손엔 말이야
설레임보다 커다란 믿음이 담겨서
난 함박웃음을 지었지만
울음이 날 것도 같았어
소중한 건 언제나 두려움이니까
문을 열면 들리던 목소리
너로 인해 변해있던 따뜻한 공기
여전히 자신 없지만 안녕히
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아낌없이 반짝인 시간은
조금씩 옅어져 가더라도
너와 내 맘에 살아 숨 쉴 테니
여긴, 서로의 끝이 아닌
새로운 길 모퉁이
익숙함에 진심을 속이지 말자
하나 둘 추억이 떠오르면
많이 많이 그리워할 거야
고마웠어요 그래도 이제는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솔직히 두렵기도 하지만
노력은 우리에게 정답이 아니라서
마지막 선물은 산뜻한 안녕

이별을 '끝이 아닌 새로운 길 모퉁이'로 비유했다고 생각해서 비유 예시로 찾았는데, 상징을 배우고 나면 상징도 있지 않냐는 질문을 받을 것 같아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6 PM
생각이 많은 건 당연히 해야 할 일이야
나에겐 우리가 지금 1순위야
안전한 유리병을 핑계로 바람을 가둬 둔 것 같지만
기억나? 그날의 우리가 잡았던 그 손엔 설레임보다 커다란 믿음이 담겨서 난 함박웃음을 지었지만 울음이 날 것도 같았어
소중한 건 언제나 두려움이니까
문을 열면 들리던 목소리, 너로 인해 변해있던 따뜻한 공기, 여전히 자신 없지만 안녕히
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을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아낌없이 반짝인 시간은 조금씩 옅어져 가더라도 너와 내 맘에 살아 숨 쉴 테니

여긴, 서로의 끝이 아닌 새로운 길 모퉁이
익숙함에 진심을 속이지 말자
하나 둘 추억이 떠오르면 많이 많이 그리워할 거야
고마웠어요
그래도 이제는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솔직히 두렵기도 하지만 노력은 우리에게 정답이 아니라서 마지막 선물은 산뜻한 안녕

어느 구절인지, 어느 시어인지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어느 부분에서 아이들이 비유와 상징을 헷갈릴 것 같으신지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6 PM
비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존재하고, 상징은 원관념이 생략된 것이라고 이론에서는 설명하는데, 노래는 전체적으로 이별을 암시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 중 '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을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이런 구절을 보면,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 같은 것들은 문맥 상으로는 과거의 추억을 나타내는 것 같긴 하지만, 사람마다 생각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상징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7 PM
원관념(=이별 이후)과 보조관념(=사건의 지평선 너머)이 유사성으로 묶인 것으로 보입니다. 사건이 결국 이별, 지평선이 그 끝, 너머가 그 이후로 차례차례 본다면 원과념과 보조관념의 유사성으로 묶을 수 있을 듯 합니다.
굳이 상징을 고민한다면...각각 한단어로 '지평선'만 본다면 이건 끝, 너머 - 다음, 그 이후 로 나누어 분석하면 상징도 가능해 보입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7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6 PM비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존재하고, 상징은 원관념이 생략된 것이라고 이론에서는 설명하는데, 노래는 전체적으로 이별을 암시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 중 '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을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이런 구절을 보면,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 같은 것들은 문맥 상으로는 과거의 추억을 나타내는 것 같긴 하지만, 사람마다 생각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상징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특정한 시어나 특정한 구절을 짚지 않고 비유나 상징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을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 이 구절을 예로 드셨으니까 이걸로 해 볼게요.
"별은 사라졌지만 한동안은 아스라한 빛을 꺼내볼 수 있다."
시적 상황이 '이별'을 노래한 걸로 본다면, 이것은 '은유'일 뿐입니다.

그런데 만약, 시적 상황이 전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면, 상징도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특별한 정보가 없는 한, 이 시는 남녀간의 이별 상황 으로 자연스럽게 해석되고, 그에 따라 해당부분도 은유로 확정될 것 같습니다.

표현법을 찾기에 앞서 "시적 상황"과 "화자의 상태" 등을 먼저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7 PM
아! 유사성에 집중하면 비유라고 볼 수 있겠네요. 헷갈리는 부분을 좀더 설명하자면, 교과서에서는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되어 있어서, '추억=사라진 별 '이라고 표현한 것은 상징도 될 수 있지 않나 이런 게 헷갈립니다. ㅠㅠ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7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7 PM아! 유사성에 집중하면 비유라고 볼 수 있겠네요. 헷갈리는 부분을 좀더 설명하자면, 교과서에서는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되어 있어서, '추억=사라진 별 '이라고 표현한 것은 상징도 될 수 있지 않나 이런 게 헷갈립니다. ㅠㅠ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낸 것'이 상징이라고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상징'의 특성 중 일부일 뿐,
상징은 곧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낸 것'이고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낸 것'은 모두 상징이고
그러한 관계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내 마음은 호수요.
유명한 "은유법"이지만
마음은 추상적이고 호수는 구체적이지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12:39 PM
안녕하세요! 상징이 늘 헷갈려... 질문해요..! '수학 문제집을 푸는 내 어깨가 무거웠다'는 상징이 될 수 있을까요? 진부한 표현이지만, 추상적인 마음을 구체적인 것으로 표현했고, 정말 어깨가 무거웠을 수도/부담감으로 무거운 마음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으니 상징일까요? 비유와 상징.. 어렵네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12:3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12:39 PM안녕하세요! 상징이 늘 헷갈려... 질문해요..! '수학 문제집을 푸는 내 어깨가 무거웠다'는 상징이 될 수 있을까요? 진부한 표현이지만, 추상적인 마음을 구체적인 것으로 표현했고, 정말 어깨가 무거웠을 수도/부담감으로 무거운 마음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으니 상징일까요? 비유와 상징.. 어렵네요..

상징이 아닙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악뮤-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 라는 노래에서

사랑이라는 이유로 서로를 포기하고
찢어질 것 같이 아파할 수 없어 난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요, 여기 '찢어질 것 같이 아프다'라는 부분이 직유법이 맞을까요? 중1 비유 활동에서 노래에서 비유찾기를 하고있었는데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악뮤-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 라는 노래에서

사랑이라는 이유로 서로를 포기하고
찢어질 것 같이 아파할 수 없어 난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요, 여기 '찢어질 것 같이 아프다'라는 부분이 직유법이 맞을까요? 중1 비유 활동에서 노래에서 비유찾기를 하고있었는데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저는 직유라고 보이네요~ 아픔이 느낌이 다양한데 그 중에 찢어지는 듯한 통증인거니까 저는 직유 같습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악뮤-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 라는 노래에서

사랑이라는 이유로 서로를 포기하고
찢어질 것 같이 아파할 수 없어 난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요, 여기 '찢어질 것 같이 아프다'라는 부분이 직유법이 맞을까요? 중1 비유 활동에서 노래에서 비유찾기를 하고있었는데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직유법 맞아요~
"비유"라는 것은, 진짜 그 대상이 아닌데, 다른 대상에 빗대는 거잖아요?
'사과 같은 내 얼굴'에서 '얼굴'이 '사과'가 아니죠.
'내 마음은 호수요'에서 '마음'이 '호수'가 아니죠.

'찢어질 것 같이' '아파'에서 실제로 '찢어졌'나요? 그걸 가지고 비유인지 아닌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악뮤-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 라는 노래에서

사랑이라는 이유로 서로를 포기하고
찢어질 것 같이 아파할 수 없어 난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요, 여기 '찢어질 것 같이 아프다'라는 부분이 직유법이 맞을까요? 중1 비유 활동에서 노래에서 비유찾기를 하고있었는데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직유법 맞아요~
"비유"라는 것은, 진짜 그 대상이 아닌데, 다른 대상에 빗대는 거잖아요?
'사과 같은 내 얼굴'에서 '얼굴'이 '사과'가 아니죠.
'내 마음은 호수요'에서 '마음'이 '호수'가 아니죠.

'찢어질 것 같이' '아파'에서 실제로 '찢어졌'나요? 그걸 가지고 비유인지 아닌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저도 비유로 보기 힘들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보통 비유는 추상적인 대상을 이해하기 쉽게 좀 더 구체적은 대상으로 표현한다고 알고 있는데 '찢어지다'라는 상태?가 비유로 쓰일 수 있는지 의문이 들어서요.

그리고 비유가 쓰이려면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찢어지다'와 '마음'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고 할 수있을지요?

앞서 참사랑 선생님이 설명해주신 예시를 활용해서 다시 이야기 하자면
'사과=얼굴'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예쁘다'라고 할 수 있고,
'호수=마음'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넓고 깊다'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찢어지다=마음'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뭐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깁니다.

오히려 '종이? 혹은 살?=마음'이라고 비유하고 유사성으로 '찢어지다'가 있는데 보조관념을 숨긴 채 표현한 것이 아닐까...싶기도 하네요. 다른 여러 선생님들의 의견도 궁금합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19 PM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악뮤-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거지 라는 노래에서

사랑이라는 이유로 서로를 포기하고
찢어질 것 같이 아파할 수 없어 난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요, 여기 '찢어질 것 같이 아프다'라는 부분이 직유법이 맞을까요? 중1 비유 활동에서 노래에서 비유찾기를 하고있었는데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직유법 맞아요~
"비유"라는 것은, 진짜 그 대상이 아닌데, 다른 대상에 빗대는 거잖아요?
'사과 같은 내 얼굴'에서 '얼굴'이 '사과'가 아니죠.
'내 마음은 호수요'에서 '마음'이 '호수'가 아니죠.

'찢어질 것 같이' '아파'에서 실제로 '찢어졌'나요? 그걸 가지고 비유인지 아닌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저도 비유로 보기 힘들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보통 비유는 추상적인 대상을 이해하기 쉽게 좀 더 구체적은 대상으로 표현한다고 알고 있는데 '찢어지다'라는 상태?가 비유로 쓰일 수 있는지 의문이 들어서요.

그리고 비유가 쓰이려면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찢어지다'와 '마음'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고 할 수있을지요?

앞서 참사랑 선생님이 설명해주신 예시를 활용해서 다시 이야기 하자면
'사과=얼굴'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예쁘다'라고 할 수 있고,
'호수=마음'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넓고 깊다'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찢어지다=마음'이라고 비유하면 유사성은 뭐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깁니다.

오히려 '종이? 혹은 살?=마음'이라고 비유하고 유사성으로 '찢어지다'가 있는데 보조관념을 숨긴 채 표현한 것이 아닐까...싶기도 하네요. 다른 여러 선생님들의 의견도 궁금합니다.
유사성은 아프다?가 아닐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0 PM
안녕하세요! 요즘 서정 개념을 가르치는데, 비유와 상징의 구분이 저조차도 어려운 것 같아요..
이론적으로 1:1이니 1:다의 관계라거나, 원관념이 드러나는지 안드러나는지의 차이라고 하기에는
위에서 언급하신 환유(펜은 칼보다 강하다)도 그렇고, 은유도 어떤 경우에는 원관념이 직접 드러나지 않는 일이 있으니
이걸 어떻게 구분하시는지, 또 이론적인 다른 구분 방법이 있는지,
혹은 이들이 경계가 모호한 것이 맞는지
(저는 비유가 반복되며 하나의 구체적 보조 관념이 다양한 추상적 원관념들을 의미하게 되면 상징이라고, 가설을 세워봤는데 맞는지..)

궁금합니다 선생님들은 어떻게 정리하셨고, 어떻게 가르치시는지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0 PM
제가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선생님이 언급하신 비유와 상징의 일반적인 차이는 가르치기는 하지만 강조하지는 않아요
실제로도 깊이 들어가면 상징을 은유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알고 있구요. 깊이 들어갈 수록 경계는 모호해진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중고등학교 수준에서는 각각의 비유와 상징의 의미와 표현효과에 초점을 두고 가르치는 거 같아요.

학생들이 질문이 들어오면 명확한 거는 설명해주고 모호한 거는 샘도 명확히 나누기 어렵다 너무 둘을 나누려고만 하지 말고 왜 이런 표현을 썼을지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자 정도로 해요ㅜㅜ
수능에서조차 상징과 비유를 구분하는 문제는 나오지 않고 교육과정에서도 둘의 차이를 다루고 있지 않은 거 같아서요 (물론 저도 비유 상징이 모호할 때가 많아서 이렇게 가르치면서 합리화하는 거 같기도 하네유ㅜㅜ)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
은유랑 상징 또는 환유가
구분이 어려운 거라서
은유는 1:1
상징은 1:다
상징은 암시적이고 모호한 해석으로
예를 들어 쉽게 씌어진 시에서 등불을 희망, 조국의 광복 등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일단 그렇게 설명했어요~
저도 둘을 구분하는 문제는 크게 나오지 않는다고 이야기했습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
그쵸 저도 비유 상징 구분하는 문제를 본 건 아니지만, 교사용교과서에 파란 글씨로 나와있는 것 외에도 비유나 상징처럼 보이는 시어가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더라구요ㅠㅠ

그렇다면 나희덕 귀뚜라미에 나오는 '노래'라는 시어에 은유나 상징 중 무엇이 쓰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gui.jpg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그쵸 저도 비유 상징 구분하는 문제를 본 건 아니지만, 교사용교과서에 파란 글씨로 나와있는 것 외에도 비유나 상징처럼 보이는 시어가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더라구요ㅠㅠ

그렇다면 나희덕 귀뚜라미에 나오는 '노래'라는 시어에 은유나 상징 중 무엇이 쓰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 부분은 내 '울음'을 '노래'로 빗대어 표현한 은유가 아닐까요?.. 원관념이 바로 대응되는 거 같아서요
저도 자신은 없네요ㅜ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그쵸 저도 비유 상징 구분하는 문제를 본 건 아니지만, 교사용교과서에 파란 글씨로 나와있는 것 외에도 비유나 상징처럼 보이는 시어가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더라구요ㅠㅠ

그렇다면 나희덕 귀뚜라미에 나오는 '노래'라는 시어에 은유나 상징 중 무엇이 쓰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 부분은 내 '울음'을 '노래'로 빗대어 표현한 은유가 아닐까요?.. 원관념이 바로 대응되는 거 같아서요
저도 자신은 없네요ㅜ
1연에 "내 울음 아직은 노래 아니다"라는 표현도 있는데 빗댄 거라고 볼 수 있을지 해서요😢 넘 어렵슴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1 PM그쵸 저도 비유 상징 구분하는 문제를 본 건 아니지만, 교사용교과서에 파란 글씨로 나와있는 것 외에도 비유나 상징처럼 보이는 시어가 있는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더라구요ㅠㅠ

그렇다면 나희덕 귀뚜라미에 나오는 '노래'라는 시어에 은유나 상징 중 무엇이 쓰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저는 은유같아요~

상징은 좀 다르게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링크:  http://jangi.net/RG/rg4_board/view.php?&bbs_code=free&bd_num=740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3 PM
선생님들 김춘수 시인의 <꽃>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기본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시에서 '꽃'은 구체적 사물이 아니라 시인의 관념을 대변하는 추상적 존재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징의 정의가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을 때 이 시에서 꽃은 상징적 의미로 쓰인 걸까요, 아닌 걸까요..?

상징-꽃.jpg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3 PM선생님들 김춘수 시인의 <꽃>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기본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시에서 '꽃'은 구체적 사물이 아니라 시인의 관념을 대변하는 추상적 존재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징의 정의가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을 때 이 시에서 꽃은 상징적 의미로 쓰인 걸까요, 아닌 걸까요..?

상징의 정의가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것.

이 정의 자체가 틀렸어요~
그와 별개로 김춘수의 '꽃'에서 '꽃'은 구체적인 사물 맞아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
향기나고 뿌리줄기잎이 달린 식물로서의 꽃이 구체적 사물로서의 꽃이고..
이 시에서 꽃은 위와 같은 의미가 아니라 의미있는 존재라는 작가의 추상적 관념을 꽃이라는 사물로 표현한(상징) 것이지 않나요... 전 그렇게 이해하고 가르쳤어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
"꽃"은 구체적인 대상이죠.
그 구체적인 대상을 시에서 언급할 때, 그 "꽃"이 아니라
그 "꽃"에 담긴 의미가 <식물 꽃>이 아니라 <추상적 존재>라는 것입니다.
맨 마지막 줄에 "그 순간을 <꽃>으로 상징한 것"이라고 했는데, 이 말은 "그 순간을 <구체적인 사물>로 상징한 것"이라고 해석하셔야 하지 않나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
한 가지 질문 드립니다. 눈물을 '눈동자에서 난 땀'이라 표현하는 구절을 보았습니다. 이 구절에서 사용된 표현법은 비유로 볼 수 있을까요, 상징으로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4 PM한 가지 질문 드립니다. 눈물을 '눈동자에서 난 땀'이라 표현하는 구절을 보았습니다. 이 구절에서 사용된 표현법은 비유로 볼 수 있을까요, 상징으로 볼 수 있을까요?
비유지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6 PM
구상의 초토의 시1을 수업하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밑줄 친 부분을 밝게 타오름 -> 전쟁이라는 암담한 상황 속에서 아이들의 활기, 천진난만함을 드러냄 -> 전쟁의 비극성 강조를 설명하다가

학생들이 '불타는'이라는 표현을 소멸, 부정적 이미지로 파악해서 왜 불타는 해바라기에 비유된 아이들의 모습이 생기있는 이미지인지 이해를 어려워하더라구요 ㅠㅠ 혹시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초토1.jpg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6 PM구상의 초토의 시1을 수업하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밑줄 친 부분을 밝게 타오름 -> 전쟁이라는 암담한 상황 속에서 아이들의 활기, 천진난만함을 드러냄 -> 전쟁의 비극성 강조를 설명하다가

학생들이 '불타는'이라는 표현을 소멸, 부정적 이미지로 파악해서 왜 불타는 해바라기에 비유된 아이들의 모습이 생기있는 이미지인지 이해를 어려워하더라구요 ㅠㅠ 혹시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갑자기 이목을 끌거나 당황해서 얼굴이 붉어지면 불타는 고구마가 됐다고 하잖아요? 발그레하게 상기된 모습을 불타는으로 표현했다고 하면 어려울까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6 PM
불타는 해바라기마냥 ~ 다음 행의 햇발이 눈부시다, 와 이미지가 연결되는 것 같아요. 해바라기는 하늘을 바라보는 거고 태양/햇발의 이미지는 생명의 원형적 상징이기도 하다는 점을 가르치면 좋을 것 같은데요,

해바라기에게 '불타는' 이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고 설명해도 될 것 같아요 태양을 바라보는 꽃이니까?!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9 PM
안녕하세요, 선생님.
비유와 상징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비유의 경우,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1:1의 대응 관계이고, 상징의 경우,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1:多의 대응 관계라고 정리되어 있습니다.
상징의 경우를 예로 들면, '물'은 보조관념, '재생, 정화, 생명 등'은 원관념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대응 관계는 多:1의 대응 관계라고 말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9 PM안녕하세요, 선생님.
비유와 상징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비유의 경우,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1:1의 대응 관계이고, 상징의 경우,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1:多의 대응 관계라고 정리되어 있습니다.
상징의 경우를 예로 들면, '물'은 보조관념, '재생, 정화, 생명 등'은 원관념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대응 관계는 多:1의 대응 관계라고 말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선생님 생각하신 것처럼 원관념이 다, 보조관념(상징)이 1 이렇게 다대일 대응 맞는 것 같습니다. 자습서도 잘못 나올 수 있죠ㅎㅎ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29 PM
제가 그 자습서를 직접 보지 못해서 뭐라 말하긴 어렵습니다만,
선생님께서 그 부분을 꼼꼼하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은 원관념과 보조관념/ 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보조관념과 원관념/ 이라고 표현을 하고,
그래서 일 대 다 대응으로 표현됩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
자습서에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이렇게 나와있네요;; 일단 선생님들 말씀대로 원관념과 보조관념으로 본다면 다대일이 맞는 것 같네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29 PM제가 그 자습서를 직접 보지 못해서 뭐라 말하긴 어렵습니다만,
선생님께서 그 부분을 꼼꼼하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은 원관념과 보조관념/ 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보조관념과 원관념/ 이라고 표현을 하고,
그래서 일 대 다 대응으로 표현됩니다.
왜 순서가 보조관념과 원관념이냐면,

내 마음은 호수요,
사과 같은 내 얼굴,
눈은 살아 있다. 마당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호수'는 무엇인가? - 호수는 내 마음이다
'사과'는 무엇인가? - 사과는 내 얼굴이다
'눈'은 무엇인가?
이렇게 시의 의미를 해석하려면 "보조관념"에서 먼저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자습서에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이렇게 나와있네요;; 일단 선생님들 말씀대로 원관념과 보조관념으로 본다면 다대일이 맞는 것 같네요~
아마 대응의 순서가 안 맞는 걸 보니,
수학에 약한 분이 집필하셨나 봐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
혹시 상징 수업에서 동기유발하기에 좋은 드라마 클립 같은 거 있을까요?? 검색 중인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혹시 상징 수업에서 동기유발하기에 좋은 드라마 클립 같은 거 있을까요?? 검색 중인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영화 <기생충>에서 '수석'을 두고 '상징적이야~'라고 하는 대사가 떠올라서 지나가며 남겨 봅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
안녕하세요? 비유, 상징 표현 수업을 하다 의문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비유, 상징 표현을 활용하여 표현하기 활동을 진행했는데, 수업을 하다 보니까 두 활동이 거의 똑같은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비유랑 상징 중에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비유 - 자신의 현재 상태와 가장 어울리는 카드를 골라 비유 표현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예) 나는 지금 짬짜면이다. 즐거운 기분과 피곤한 기분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상징 - 자신을 표현하는 상징물 만들기 (예) 나의 특성: 시끄러움, 장난기가 많음, 사랑스러움 -> 상징물: 강아지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안녕하세요? 비유, 상징 표현 수업을 하다 의문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비유, 상징 표현을 활용하여 표현하기 활동을 진행했는데, 수업을 하다 보니까 두 활동이 거의 똑같은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비유랑 상징 중에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비유 - 자신의 현재 상태와 가장 어울리는 카드를 골라 비유 표현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예) 나는 지금 짬짜면이다. 즐거운 기분과 피곤한 기분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상징 - 자신을 표현하는 상징물 만들기 (예) 나의 특성: 시끄러움, 장난기가 많음, 사랑스러움 -> 상징물: 강아지
비유는 좀.. 일시적인 상태이고

상징은 좀.. 본질적인..그러니까 영속적인 상태에 대한 게 아닐까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
상징은 네잎클로버 예시 들어주니까 바로 이해하던데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1 PM안녕하세요? 비유, 상징 표현 수업을 하다 의문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비유, 상징 표현을 활용하여 표현하기 활동을 진행했는데, 수업을 하다 보니까 두 활동이 거의 똑같은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비유랑 상징 중에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비유 - 자신의 현재 상태와 가장 어울리는 카드를 골라 비유 표현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 (예) 나는 지금 짬짜면이다. 즐거운 기분과 피곤한 기분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상징 - 자신을 표현하는 상징물 만들기 (예) 나의 특성: 시끄러움, 장난기가 많음, 사랑스러움 -> 상징물: 강아지
비유는 좀.. 일시적인 상태이고

상징은 좀.. 본질적인..그러니까 영속적인 상태에 대한 게 아닐까요?
나는 지금은 짬짜면 같지만 내일을 울면 같을 수도 있고..

하지만 '강아지가 나의 상징이야' 하면 나는 늘 강아지오 인식될 거 같아요. 오늘은 강아지 내일은 고양이, 이렇진 않을듯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혹시 상징 수업에서 동기유발하기에 좋은 드라마 클립 같은 거 있을까요?? 검색 중인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학생들에게 자신을 상징하는 동물, 사물, 캐릭터를 사진으로 보내라고 한다음 PPT 만들어서 이 동물 상징 보낸친구는 누구일까요 이런식으로 퀴즈 활동하는 겁니다 ㅎㅎㅎ
아이들이 비유랑 상징을 헷갈려해서 단순히 닮은 동물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경우에는 오개념 정정해가면서 하면 좋더라구요!! ㅎㅎ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혹시 상징 수업에서 동기유발하기에 좋은 드라마 클립 같은 거 있을까요?? 검색 중인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학생들에게 자신을 상징하는 동물, 사물, 캐릭터를 사진으로 보내라고 한다음 PPT 만들어서 이 동물 상징 보낸친구는 누구일까요 이런식으로 퀴즈 활동하는 겁니다 ㅎㅎㅎ
아이들이 비유랑 상징을 헷갈려해서 단순히 닮은 동물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경우에는 오개념 정정해가면서 하면 좋더라구요!! ㅎㅎ

상징은 아이들도 어려워 하는거 같아요
우리반 상징마크 만들게 했는데 쉽지않더라고요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4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0 PM혹시 상징 수업에서 동기유발하기에 좋은 드라마 클립 같은 거 있을까요?? 검색 중인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https://m.blog.naver.com/rlawlsthf105/222461476404

이 게시물에서 5~6번 활동지 '상징 배우기'와 '상징 표현하기' 두 차시 수업 공개 해봤는데 재밌게 했었습니다. 방법은 그냥 모둠끼리 얘기해보라 하시고 전체적으로 의견 공유하시면 됩니다^^
Title: Re: 비유 상징
Post by: 익명 on Apr 19, 2023, 04:57 PM
저는 시간 부족으로 못 했는데 상징 달력 만들기 하고 싶었어요! 그림 그릴 수 있는 칸 비워둔 캘린더에 각 달을 상징할 수 있는 그림으로 채우기~ 명함은 아니지만 혹시 명함 관련 정보 찾기 힘드시면 참고해주세요ㅎㅎ 제가 못 해서 아쉬운 마음에 올려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