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for Education

묻고 답하기 => 국어 교육 관련 => Topic started by: 익명 on Apr 09, 2023, 06:42 PM

Titl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2 PM
안녕하세요
김소월 초혼에서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가 감정이입인데 의인법도 있다고 할 수 있나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3 PM
아이가 사람처럼 슬피 우니까 의인법 아닌가요?라고 하는데 그럼 동물의 우는 행위가 모두 의인법이라 할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3 PM
사람이 죽어서 슬픈 상황이고, 그래서 본능에 따른 동물의 울음소리가 아니라 슬퍼서 우는 상황으로 표현한 것이니 의인법이 맞지 않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3 PM
그럼 산꿩도 섧게 울은 슬픈 날이 있었다 백석의 여승에서도 의인법이겠네요..
그럼 앞에 나오는 슬프게 섧게 라는 감정이입때문에 나오는 우는 행위는 모두 의인화로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정이입->의인화로 연결되는지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
원래는 2 겠지만
화자의 감정이입의 대상으로보아 1로 해석되니
의인화시켰다고 볼 수있지않을까여

의인1.jpg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원래는 2 겠지만
화자의 감정이입의 대상으로보아 1로 해석되니
의인화시켰다고 볼 수있지않을까여


1이라 하더라도 '기쁨,슬픔을 억누르지 못한다'는 게 앞에 '인간이'가 없어서 1로해석됨=의인화. 이렇게 보긴 어렵지않나요?

ㅡㅡㅡ
물론 기쁨슬픔 아픔 등을 참는 건 '인간'만이 하니까 당연히 앞에 '인간'을 빼는 걸로 사전처리한 거겠지만,
동물이 감정이 없다고 할 수 있을지..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
선생님, 동물들도 다 감정이 있어요. 고양이와 개와 함께 지내보면, 기쁠 때와 화날 때와 슬플 때가 다 있음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현대 자연과학에서도 고양이와 개와 같은 동물들이 감정이 있다고 봅니다.

국어사전에 나오는 '슬픔을 억누른다'는 것은 '슬픔을 자제하려는 의지가 있다'는 뜻이 아니라 '억누를 수 없게 슬픔이 클 때' 눈물이 나온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
쌤 다시 시를 찬찬히 보니까 의인법은 아니고 감정이입으로 보입니다 ㅎㅎ 아까 성급하게 답한 것 양해해 주세요 ㅎㅎ

화자는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 슬픈 상황이고, 그래서 사슴 무리의 울음소리가 마치 슬퍼서 우는 듯 느껴진다 하였으니 사슴을 사람인 양 표현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여기서 사슴이 운다는 건 사람처럼 눈물을 흘린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사슴이 내는 소리이고 그게 슬프게 들린다는 맥락으로 보여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4 PM
그럼
'운다': 사전적 의미로 '동물이 소리를 내다'가 있기 때문에 운다는 행위자체가 의인화는 아니다이고

슬피가 화자의 슬픈 감정이 들어간거니 감정이입으로 얘기해 주면 될 것 같네요.

백석 '여승' 산꿩 부분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이 되겠네요.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
안녕하세요~시 엄마 걱정의 표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엄마 걱정'에서 '해는 시든지 오래' 라는 표현을 '해'를 '열무' 혹은 '배추'에 빗댄 비유적 표현으로 보아야 할까요?

2.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을 촉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을까요?

3.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에서 '타박타박'은 의태어이고, '배춧잎'도 '시든 배추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데 발소리에 빗댔으니 공감각적 심상으로 보아야할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안녕하세요~시 엄마 걱정의 표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엄마 걱정'에서 '해는 시든지 오래' 라는 표현을 '해'를 '열무' 혹은 '배추'에 빗댄 비유적 표현으로 보아야 할까요?

2.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을 촉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을까요?

3.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에서 '타박타박'은 의태어이고, '배춧잎'도 '시든 배추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데 발소리에 빗댔으니 공감각적 심상으로 보아야할까요?

1. 비유적 표현 맞습니다.
2. 촉각적 심상 맞습니다.
3. 배춧잎을 땅에 탁탁 치면 아마 타박타박 소리가 날 겁니다. 청각적 심상으로만 봐도 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안녕하세요~시 엄마 걱정의 표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엄마 걱정'에서 '해는 시든지 오래' 라는 표현을 '해'를 '열무' 혹은 '배추'에 빗댄 비유적 표현으로 보아야 할까요?

2.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을 촉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을까요?

3.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에서 '타박타박'은 의태어이고, '배춧잎'도 '시든 배추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데 발소리에 빗댔으니 공감각적 심상으로 보아야할까요?

1. 비유적 표현 맞습니다.
2. 촉각적 심상 맞습니다.
3. 배춧잎을 땅에 탁탁 치면 아마 타박타박 소리가 날 겁니다. 청각적 심상으로만 봐도 됩니다.

아하 명쾌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1번의 경우 은유에 해당한다고 보면 될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8 PM안녕하세요~시 엄마 걱정의 표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엄마 걱정'에서 '해는 시든지 오래' 라는 표현을 '해'를 '열무' 혹은 '배추'에 빗댄 비유적 표현으로 보아야 할까요?

2.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을 촉각적 심상으로 볼 수 있을까요?

3.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에서 '타박타박'은 의태어이고, '배춧잎'도 '시든 배추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데 발소리에 빗댔으니 공감각적 심상으로 보아야할까요?

1. 비유적 표현 맞습니다.
2. 촉각적 심상 맞습니다.
3. 배춧잎을 땅에 탁탁 치면 아마 타박타박 소리가 날 겁니다. 청각적 심상으로만 봐도 됩니다.

아하 명쾌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1번의 경우 은유에 해당한다고 보면 될까요?

그렇겠죠.
근데... 해: 무생물, 식물: 생물 시들다? 활유법

이렇게 설명하는 곳도 많아요.
활유는 생명력이 느껴져야 활유인데, 그저 '생명체'에 빗대기만 하면 활유법이라고 가르치니.. 좀 안 맞죠 ㅎㅎ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
시를 개념에 따라 딱 맞춰 분류하는 게 참 어렵군요ㅎㅎ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09, 2023, 06:49 PM시를 개념에 따라 딱 맞춰 분류하는 게 참 어렵군요ㅎㅎ
이 부분은 무슨 법인가?
하는 질문보다
이 부분은 어떤 의미를 전달하는가?
이 부분은 나에게 어떻게 와닿는가?
하는 질문이 더 중요한데,
그걸로 수업할 수는 있는데,
그걸 시험 문제로 꾸미기 어려우니까,
수업과 시험의 괴리가 생기고,
아이들은
그럴 경우에 시험을 택하니,,
교사들도 거기에 맞춰 수업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반복됩니다.
교사가 정신을 잘 차려서,
뭐가 더 중요하고 뭐가 덜 중요한지 잘 가려서
가르치면 시도 재미있고 의미있고 감동적으로 수업할 수 있겠지요^^ 방학인데 열공하시네요. 파이팅하세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2 PM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제가 중1 수업을 하다가 갑자기 혼동이 와서 여쭤봅니다
'휴대폰은 친구다.'를 은유법의 예시로 설명했는데 의인법으로도 볼 수 있는 거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2 PM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제가 중1 수업을 하다가 갑자기 혼동이 와서 여쭤봅니다
'휴대폰은 친구다.'를 은유법의 예시로 설명했는데 의인법으로도 볼 수 있는 거죠,,?
네, 저는 그런 예시는 은유이면서 의인법이라고 가르쳤었어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쭈빗쭈빗 흩날리는 진눈깨비는 되지말자
의 구절이 쭈빗쭈빗 때문에 의인법으로 볼 여지가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쭈빗쭈빗 흩날리는 진눈깨비는 되지말자
의 구절이 쭈빗쭈빗 때문에 의인법으로 볼 여지가 있을까요?
쭈빗쭈빗 뜻이 망설이며 머뭇머뭇하는 모양이니까 의인법으로 볼 수 있을 거 같은데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저도 시험이 끝나고 아이들의 질문을 받아서 문의드립니다.
의인법을 찾는 문제인데

답을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였는데..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을
선택한 아이들이 많네요.
혹시 이것도 의인법으로 해석될 수 있을까요?
저는 너무나 당연히 은유법만 생각했거든요. 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저도 시험이 끝나고 아이들의 질문을 받아서 문의드립니다.
의인법을 찾는 문제인데

답을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였는데..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을
선택한 아이들이 많네요.
혹시 이것도 의인법으로 해석될 수 있을까요?
저는 너무나 당연히 은유법만 생각했거든요. ㅠ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인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니까 '나는 나룻배'는 그 예시로 부적절하지 않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의인법은 아닙니다.

1.은유이거나,
2.진짜 나룻배가 화자이거나입니다.

2의 경우
시 전체를 보면 의인화되어 있습니다만, 해당 구절에서는 찾기 어렵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6 PM의인법은 아닙니다.

1.은유이거나,
2.진짜 나룻배가 화자이거나입니다.

2의 경우
시 전체를 보면 의인화되어 있습니다만, 해당 구절에서는 찾기 어렵죠
오히려 은유법이 아니라 의인법이 아닐까요? 이 시에서는 나를 나룻배에 빗대어 표현하지 않고 그 자체가 다른 룻배이기 때문에 은유법은 아니지만 나룻배가 인격을 가지고 의인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
선생님들~~ 오늘 활유법에 대해 간략하게 무생물인 것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것이라고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줬는데 그럼 시체를 살아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냐고 아이들이 묻더군요....ㅎㅎ...
활유법이 아닌 것 같은데 왜 아닌지 설명을 해주기 애매한데 뭐라고 설명하면 좋을까요?

무생물을 생물에 빗대어 표현하는게 활유법인데 시체는 처음부터 무생물이라기보다는 생물이었는데 그 목숨을 잃은거니까? 참 설명하기 어렵네요ㅠㅠ 진짜 참신한 질문 같아요ㅋㅋㅋ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
저는 중1에게 식물도 과학시간에 생물이라고 배웠는데 왜 산을 생물처럼 표현했다고 하냐고 질문 들은 적이 있는데 답을 못했어요......

산이 날개를 펼친다? 라는 구절에서요

산도 이미 생물인데 생물처럼 표현했다고 하니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저는 중1에게 식물도 과학시간에 생물이라고 배웠는데 왜 산을 생물처럼 표현했다고 하냐고 질문 들은 적이 있는데 답을 못했어요......

산이 날개를 펼친다? 라는 구절에서요

산도 이미 생물인데 생물처럼 표현했다고 하니까요.
활유맞잖아요?

산이 생물이 아니죠^^
산에 있는 식물은 생물이지만
"산" 자체는 거기에 식물도 있고 동물도 살고 바위도 계곡도 샘물도 잇는 무생물인데요

산은 지형이지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
나희덕의 '귀뚜라미'를 가르치던 도중이라 '시체가 풀숲 위에 뒤척인다'를 예시로 말하더군요...하하하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선생님들~~ 오늘 활유법에 대해 간략하게 무생물인 것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것이라고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줬는데 그럼 시체를 살아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냐고 아이들이 묻더군요....ㅎㅎ...
활유법이 아닌 것 같은데 왜 아닌지 설명을 해주기 애매한데 뭐라고 설명하면 좋을까요?

무생물을 생물에 빗대어 표현하는게 활유법인데 시체는 처음부터 무생물이라기보다는 생물이었는데 그 목숨을 잃은거니까? 참 설명하기 어렵네요ㅠㅠ 진짜 참신한 질문 같아요ㅋㅋㅋ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나희덕의 '귀뚜라미'를 가르치던 도중이라 '시체가 풀숲 위에 뒤척인다'를 예시로 말하더군요...하하하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선생님들~~ 오늘 활유법에 대해 간략하게 무생물인 것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것이라고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줬는데 그럼 시체를 살아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냐고 아이들이 묻더군요....ㅎㅎ...
활유법이 아닌 것 같은데 왜 아닌지 설명을 해주기 애매한데 뭐라고 설명하면 좋을까요?

무생물을 생물에 빗대어 표현하는게 활유법인데 시체는 처음부터 무생물이라기보다는 생물이었는데 그 목숨을 잃은거니까? 참 설명하기 어렵네요ㅠㅠ 진짜 참신한 질문 같아요ㅋㅋㅋ
활유법의 정의는 무생물을 생물인 것 처럼 표현하는건데, 시체는 무생물 아닌가용...

활유법 맞는 거 같아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나희덕의 '귀뚜라미'를 가르치던 도중이라 '시체가 풀숲 위에 뒤척인다'를 예시로 말하더군요...하하하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7 PM선생님들~~ 오늘 활유법에 대해 간략하게 무생물인 것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것이라고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줬는데 그럼 시체를 살아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냐고 아이들이 묻더군요....ㅎㅎ...
활유법이 아닌 것 같은데 왜 아닌지 설명을 해주기 애매한데 뭐라고 설명하면 좋을까요?

무생물을 생물에 빗대어 표현하는게 활유법인데 시체는 처음부터 무생물이라기보다는 생물이었는데 그 목숨을 잃은거니까? 참 설명하기 어렵네요ㅠㅠ 진짜 참신한 질문 같아요ㅋㅋㅋ
활유법의 정의는 무생물을 생물인 것 처럼 표현하는건데, 시체는 무생물 아닌가용...

활유법 맞는 거 같아요
전 아닌 것 같아요..

원래 무생물인 것을 생물처럼 비유하는 것 같아요  활유법의 원래 정의가..

처음부터 무생물이 아니라서..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그리고 원래 그럴 수 없는 상태인데 역동적으로 느껴지도록 하는 비유법이라서

시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인데 움직인다고 하면 충분히 활유가 되는 것 같아요 ㅋㅋ

사실 문학을 딱딱 나누는 것은 큰 의미가 없죠 ㅋㅋ 학자마다 다르게 생각하는 것도 많으니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죽은 동물을 무생물이라 하나요?

전 아닌 듯해요, 만일 2차 가공의 형태, 즉 나무로 만든 책상 같은 것이라면 몰라도..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우리는 과학을 따지는 게 아니라 문학을 따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세상을 분류합니다.
1무생물 > 2식물 > 3동물 > 4인간

1, 2, 3이 4처럼 표현되면 의인법
1,2가 3,4처럼 표현되면 활유법
이게 제일 쉬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8 PM우리는 과학을 따지는 게 아니라 문학을 따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세상을 분류합니다.
1무생물 > 2식물 > 3동물 > 4인간

1, 2, 3이 4처럼 표현되면 의인법
1,2가 3,4처럼 표현되면 활유법
이게 제일 쉬워요.
아이들이 '식물도 생물'어쩌고 한다면, 그거랑은 다르다고 말해 줘야 합니다.

1. 벽에 물을 뿌렸다.
2. 나무에 물을 뿌렸다.
3. 개에게 물을 뿌렸다.
4. 철수에게 물을 뿌렸다.

-> 활유법에서는 '에' 붙는 쪽을 무생물로 처리한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9 PM
이 문장이 논란이 될 수 있는 것은,
'활유법' 속에 "생물/무생물"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른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활유법은 '비유법'입니다. 일단 "시체가 뒤척인다"가 비유인지를 봐야 합니다.
1. 밑에 개미랑 바퀴랑 쇠똥구리 등이 막 파먹고 있어서 시체가 '타의에 의해' 뒤척이는 것처럼 보이면 활유법으로 보기 어렵지 않을까요?
2. 그리고 무생물을 '생물처럼' 표현함으로서 역동성 등을 드러내려는 '의도'가 느껴져야 활유법인데, '시체가 뒤척인다'의 "원관념"이 뭘까요? 그 원관념이 "역동적으로 효과적으로 잘 드러나나요?" 이렇게 본다면 이 문장이 활유라는 게 잘 와닿지 않겠죠.

개념 정의만 보면 안 되고 "예문"을 제시해 달라고 했던 게 그런 복합적인 이유입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9 PM
선생님들 고시 7에서

부평초를 '더부살이 신세처럼 가냘프'다고 표현한 것을 의인화로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39 PM
나는 어머니 어깨 위에 내리는 글썽거리는 햇살이었다. 는 의인으로 볼 수도 있나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9 PM나는 어머니 어깨 위에 내리는 글썽거리는 햇살이었다. 는 의인으로 볼 수도 있나요?
나라는 원관념을 햇살이라는 보조관념에 빗댔는데, 의인법은 인간이 아닌 원관념에 인격을 부여하여야 하지 않나요?
그렇게 보면 의인이 아닌 것 같습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39 PM나는 어머니 어깨 위에 내리는 글썽거리는 햇살이었다. 는 의인으로 볼 수도 있나요?
동물도 눈믈은 흘리니까 의인법으로 보긴 어렵고,
 나는 햇살이다. - 일단은 은유법이고요,
그 햇살은 글썽거린다. - 이 부분의 해석에 따라
1. 햇살이 눈물을 글썽거린다 - 활유법. 햇살이 눈물을 글썽이며 어깨에 내린다.
2. 햇살에 눈물을 글썽거린다 - 이러면 '주객전도 표현'이겠죠. 햇살은 멀쩡하고 내가 글썽거리는데 햇살이 글썽거린다고 표현했으니까요. 그렇다 하더라도 활유는 활유겠네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그러네요. '나는 햇살이다'가 아니라 '글썽거리는 햇살'에 초점을 맞추면 활유냐 의인이냐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반어역설뿐만 아니라 의인법이 항상 애매하네요. 강아지가 운다와 강아지가 글썽거린다를 들고 오면 어떻게 얘기할지... 감사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큰 맥락으로 읽을 때에는 나를 햇살로 빗댄 것이니 은유에 가까워 보이나, '글썽거리는'은 눈물이 고인 것이고 주로 사람에게 쓰이니 의인으로도 볼 수 있을 듯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근데 시의 이미지상,
어깨에 내리는 "햇살"이 눈물을 글썽거리며 내려 앉을 것 같지는 않고요
어머니 어깨에 햇살이 내리는데, (그걸 보니) 글썽거린다, 로 해석이 돼서
활유나 의인보다는 주객전도표현이 맞을 거 같아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
밤늦게 죄송합니다
활유는 의인을 포함한다고 가르쳤는데
토끼가 세수한다처럼
의인이면서 활유아닌 표현이 많아서요
중등단계에서는 어떻게 가르쳐야할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0 PM밤늦게 죄송합니다
활유는 의인을 포함한다고 가르쳤는데
토끼가 세수한다처럼
의인이면서 활유아닌 표현이 많아서요
중등단계에서는 어떻게 가르쳐야할까요
의인은 의인대로 활유는 활유대로 가르치시는 게 맞습니다. 관계가 포함 관계가 아니니까요. 어떤 행동 중엔 인간만의 행동인지 동물이면 가능한 행동인지 구분이 안 되어 의인이라 설명하기도 하고 활유라고 설명하기도 하는 것 뿐 잘 아시는 것처럼 포함관계로 설명하면 오류가 많습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
눈에 뿌옇게 고여버린 널 흘려보내야 해

이건 의인법일까요,, 활유법일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눈에 뿌옇게 고여버린 널 흘려보내야 해

이건 의인법일까요,, 활유법일까요?
너니까 의인아닐까요.보통 너는 인칭대명사잖아여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
강아지한테 '너'라고 하는 것도 그럼 이게 강아지를 사람처럼 대해서 그런걸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강아지한테 '너'라고 하는 것도 그럼 이게 강아지를 사람처럼 대해서 그런걸까요?
동식물한테도 너라고 부르면 의인법이라고하니..
저는 의인법이라고 생각해여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눈에 뿌옇게 고여버린 널 흘려보내야 해

이건 의인법일까요,, 활유법일까요?
혹시 사람을 눈물로 비유했다고 볼 순 없을까요? 그럼 그냥 은유일 것 같아서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1 PM눈에 뿌옇게 고여버린 널 흘려보내야 해

이건 의인법일까요,, 활유법일까요?
혹시 사람을 눈물로 비유했다고 볼 순 없을까요? 그럼 그냥 은유일 것 같아서요
그럴수도 있네요!! 근데 중1한테 할거라서 눈물=너 이걸 위주로 하고 선생님 말씀대로 그런 경우라면 은유가 된다고 가르쳐주려고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관동별곡의 선학을 '호의현상'으로 표현한 부분이 의인법으로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2 PM관동별곡의 선학을 '호의현상'으로 표현한 부분이 의인법으로 볼 수 있을까요?
네 가능하다고 봅니다. 옷과 치마를 입는 것은 사람에게 해당하는 표현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듯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
이수복의 봄비에서 '서러운 풀빛'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부분인데요.  의인화된 것이지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이수복의 봄비에서 '서러운 풀빛'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부분인데요.  의인화된 것이지요?!
사물에 감정이입하면 무조건 의인법 아닌가요? 그런데 '서러워하는 풀빛'은 아닌 것 같고 '보면 서러워지는 풀빛'으로 해석하기엔 감정이입이라고 문제지 등에 나와있는 것 같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3 PM이수복의 봄비에서 '서러운 풀빛'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부분인데요.  의인화된 것이지요?!
사물에 감정이입하면 무조건 의인법 아닌가요? 그런데 '서러워하는 풀빛'은 아닌 것 같고 '보면 서러워지는 풀빛'으로 해석하기엔 감정이입이라고 문제지 등에 나와있는 것 같고...

풀빛이 서러운것이지 풀빛이라는게 의인화됐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어보이네요
풀빛에 서러운 거죠.
'이'가 쓰여서 주어란 게 아니라요 ㅎㅎ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4 PM
서러운 풀빛의 의미가

1 풀빛이 서러워한다.
즉 서러운 풀빛=서러워하는 풀빛
인가요?
2 풀빛을 보니 서러워진다.
즉 서러운 풀빛=서러워지는 풀빛
인가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4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4 PM서러운 풀빛의 의미가

1 풀빛이 서러워한다.
즉 서러운 풀빛=서러워하는 풀빛
인가요?
2 풀빛을 보니 서러워진다.
즉 서러운 풀빛=서러워지는 풀빛
인가요?
저두 이게 궁금해요. 1번이면 감정이입이고, 2라면 화자가 서러워진다고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4 PM
풀빛이라는 사물이 서러워한다는 감정을 갖기 때문에 의인화라고 본다는건 너무 과한 해석 아닌가 싶습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4 PM
(사람 제외) 감정이입인 경우에는 의인화(의인법)이라고 알고 있어요.  음  저 시를 계속 읽어보니 '서러운 풀빛이' 풀빛이 서럽다! 화자의 감정이입된 걸로 보입니다. 어떤 문제지에는 감정이입이라고 나오고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
선생님들 주말 이른 아침부터 죄송합니다. 혹시 '찻길이 놓이기 전 / 노루 멧돼지 족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이 문장을 의인법이라고 볼 여지는 없겠죠? 저 '마음 놓고'라는 표현이 좀 걸려서요ㅠ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선생님들 주말 이른 아침부터 죄송합니다. 혹시 '찻길이 놓이기 전 / 노루 멧돼지 족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이 문장을 의인법이라고 볼 여지는 없겠죠? 저 '마음 놓고'라는 표현이 좀 걸려서요ㅠㅠ
'산이 마음을 가졌다'라면 의인법이겠네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선생님들 주말 이른 아침부터 죄송합니다. 혹시 '찻길이 놓이기 전 / 노루 멧돼지 족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이 문장을 의인법이라고 볼 여지는 없겠죠? 저 '마음 놓고'라는 표현이 좀 걸려서요ㅠㅠ
동물이 마음을 편하게 가지는게 사람만이 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지 반박이 들어올까 무서워서요ㅠㅠ 강아지가 웃는다도 의인법에 해당하니까요 이른 아침부터 답변 감사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
수업할 때는 굳이 의인법이라고. 가르치진 않겠지만,
시험에선 의인법과 관련하여 "아니다"는 선지를 주진 않을 것 같아요
말 그대로 애매해서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혹시 박남수 아침이미지에서 3~5행을 여기서는 의인법으로 보는거 같은데 저는 개인적으로 활유법이라 보거든요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5 PM선생님들 안녕하세요 혹시 박남수 아침이미지에서 3~5행을 여기서는 의인법으로 보는거 같은데 저는 개인적으로 활유법이라 보거든요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굴복 이라는 단어가 지닌 뜻 때문에 의인법으로 보는 것이 아닐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전 굴복은 좀 애매했는데 '무언가를 돌려주거나' 하는 건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어서 의인법에 가깝다고 생각했어요~
굴복이 애매하다고 본 건 '무리 중 다른 동물들이 대장을 따르는 걸 굴복으로 볼 수 있지 않나' 싶어서였는데 지금은 잘 모르겠네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제 생각은 제시된 행위에 자유 의지가 반영되고, 어떤 사유의 결과로 나타난 행위인 것 같아서 의인법으로 본 것이 아닌가 싶네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관동별곡에서 '형용'이 왜 산의 정적인 모습이고 '태세'가 왜 산의 동적인 모습을 드러내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안녕하세요. 선생님들. 관동별곡에서 '형용'이 왜 산의 정적인 모습이고 '태세'가 왜 산의 동적인 모습을 드러내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을까요?
형용은 '형용사' 할 때 형용이니 '동사'의 반대이므로 '정적'입니다

톄세를 '동적'이라고 보는 건 활유법이죠. 바다를 연모한 산맥이 휘달린다는 건 그냥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동적'이라는 것이므로 '명확하게' 말할 수 없습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
'강아지가 춤추다'는 의인법일까요? 저는 동물이 어떤 동작을 하는 거지, 정말로 춤을 추는 것인지 알 수 없기에 의인법이라고 했는데, 정지용 <향수>에서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을 활유라고 하는 평가문제집을 보아서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강아지가 춤추다'는 의인법일까요? 저는 동물이 어떤 동작을 하는 거지, 정말로 춤을 추는 것인지 알 수 없기에 의인법이라고 했는데, 정지용 <향수>에서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을 활유라고 하는 평가문제집을 보아서요.
부연하자면 동물에게 춤춘다고 할지언정 동물이 정말로 춤을 춘다고 볼 수 없고, 춤추는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으니 의인법이라고 가르쳤습니다! 검색해도 마땅히 나오는 것이 없네요 ㅠ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6 PM'강아지가 춤추다'는 의인법일까요? 저는 동물이 어떤 동작을 하는 거지, 정말로 춤을 추는 것인지 알 수 없기에 의인법이라고 했는데, 정지용 <향수>에서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을 활유라고 하는 평가문제집을 보아서요.
향수가 활유라고 했지 "의인이 아니"라고는 안 한 거 아니에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저는 활유 의인 다 쓰인 거로 봅니다
애초에 활유는 움직일 수 없는 사물이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이고 의인은 사람의 행위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개의 표현법인 듯 합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무생물인 밤물결이 움직인다고 하였으니 활유이고 춤춘다고 하였으니 의인이지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저도 아이들에게 의인법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추가로 "'짖는다' 같은 표현은 사람이 아닌 동물들에게 쓰므로 의인법은 아니다" 이런 설명도 해줬고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활유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요즘 학생들이 의인이 활유에 포함되는 게 아니냐고 하도 물어와서 무의식적으로 절대 겹치지 않는다고 생각했나 봐요.
의인이라고는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7 PM
활유: 무생명을 생명처럼
의인: 비인간을 인간처럼

밤물결이 춤춘다
무생명이 (생명/인간)처럼

만약 이렇게 본다면, "활유가 아니라 의인"이라고 말할 수 없지 않나요? 인간도 생명체인데..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
강아지가 내게 말을 건다, 하면 의인법이지만 활유법은 아니지 않나요? 활유법 안에 의인법이 포함된다고 보긴 힘들 것 같아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강아지가 내게 말을 건다, 하면 의인법이지만 활유법은 아니지 않나요? 활유법 안에 의인법이 포함된다고 보긴 힘들 것 같아요
동물이 거닌다고 하더라도 감정이 포함된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
'유성'이라는 시에서 학생들이 '오늘따라 별들 부산하게 바자닌다.' 이 부분을 '활유법'이라고 많이 찾아내는데요. '의인법'이라고 설명을 다시 해주기는 하는데....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유성'이라는 시에서 학생들이 '오늘따라 별들 부산하게 바자닌다.' 이 부분을 '활유법'이라고 많이 찾아내는데요. '의인법'이라고 설명을 다시 해주기는 하는데....
꼭 사람만 거니는 것은 아니고 동물들도 돌아다닐 수 있다며 '활유법'이라고 말하는 학생들이 있어서....어떻게 설명을 해주어야 할지 곤란합니다.ㅠㅠ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한가봐요..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선생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ㅠㅠ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유성'이라는 시에서 학생들이 '오늘따라 별들 부산하게 바자닌다.' 이 부분을 '활유법'이라고 많이 찾아내는데요. '의인법'이라고 설명을 다시 해주기는 하는데....
그냥 쉽게 얘기해서 인간에만 해당하면 의인법,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 해당하면 활유법 아닌가요? 그래서 활유법 안에 의인법이 포함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8 PM'유성'이라는 시에서 학생들이 '오늘따라 별들 부산하게 바자닌다.' 이 부분을 '활유법'이라고 많이 찾아내는데요. '의인법'이라고 설명을 다시 해주기는 하는데....

아니..저도 헷갈리네요. 생물 안에 동물도 포함되니까
활유법으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바자니다의 뜻이
1. 부질없이 짧은 거리를 오락가락 거닐다.
2.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어서 머뭇머뭇하다.
이렇게 사전에 나와있는 걸 보니
1이든 2든 어떠한 정서(?)가 들어가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의인법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9 PM
선생님들! 김용택 시인의 저 새라는 작품 중 일부인데

'어둠 태우며 타오를 산아'

이 부분을 의인법이나 활유법으로 볼 수 있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49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49 PM선생님들! 김용택 시인의 저 새라는 작품 중 일부인데

'어둠 태우며 타오를 산아'

이 부분을 의인법이나 활유법으로 볼 수 있을까요?!
태우고 타오른다는 설명이 가능한 불꽃을 생각한다면 둘 다 어렵지 않을까요?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50 PM
선생님들! 이장희의 '봄은 고양이로다'에서 '푸른 봄의 생기가 뛰놀아라' 부분이 활유법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생기는 무생물인데 생물처럼 뛰논다고 표현했으니 그럴 수 있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Title: Re: 의인 활유
Post by: 익명 on Apr 10, 2023, 02:50 PM
Quote from: 익명 on Apr 10, 2023, 02:50 PM선생님들! 이장희의 '봄은 고양이로다'에서 '푸른 봄의 생기가 뛰놀아라' 부분이 활유법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생기는 무생물인데 생물처럼 뛰논다고 표현했으니 그럴 수 있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생기는 살아있는 기운이니까 봄을 생물로 표현한 것 아닐까요